티스토리 뷰

과정

Github actions를 이용하여 PR에서 자동 테스팅하는 과정은 이전 포스트에서 다뤘다.

 

1. 테스트 성공 시 자동 merge하기

1-1. 해당 저장소 -> Settings -> General -> Pull Requests -> Allow auto-merge 체크

    - PR을 남기고, github actions의 테스팅이 통과되면, 자동 merge가 되는 것이다!!

    - 만약 테스팅이 실패되면, 자동 merge가 되지 않는다.

 

2. 만약 테스팅이 실패했다면, 자동 merge는 되지 않지만 수동적으로 merge를 시킬 수 있다. 문제가 될 수 있으니 테스팅이 실패했다면 수동적으로도 아에 merge할 수 없도록 설정하였다.

2-1. 해당 저장소 -> Settings -> Branches -> Branch protection rules -> Add rule 또는 Edit 클릭

2-2. 해당 부분을 수정한 후 Save changes 클릭

- Branch name pattern: 적용할 브랜치

- Require a status checks to pass before merging: merge 전에 거치는 단계들 모두 통과(예를 들어 github actions)

- 검색 부분: github actions의 jobs의 이름을 지정해준다.

- Include administrators: 관리자에게도 규칙들을 적용할 지? (원래 관리자는 규칙들이 적용이 안된다)

검색 부분에서 cypress test로 넣어줬는데, 이것은 jobs의 이름을 cypress test로 했기 때문이다

 

 

3. 확인하기

- PR을 남기면 Enable auto-merge를 볼 수 있는데, 해당 부분을 건드리면 github actions가 성공하면 자동적으로 merge가 된다.

- Enable auto-merge 부분을 건드리지 않으면, github actions 성공 시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된다.

- 만약 Enable auto-merge 부분을 건드렸는데, github actions가 실패했다면?  자동 merge 안된다.

  (Enable auto-merge 부분을 건드리지 않아도, github actions가 실패했다면 수동 merge도 할 수 없다.)

 

 

#(현재까지) 개인 브랜치 작업 -> Master 브랜치로 PR -> 자동 테스팅 -> 테스팅 성공 시 자동 Merge (테스팅 실패 시 Merge 안됨)까지 완료하였다!

 

 

댓글
Total
Today
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