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(5가지) 과정
1. 웹 브라우저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각 단계별로 해당 주소가 캐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
(이전에 접속한 적이 있는 페이지이고, 캐싱이 적용되었다면 DNS요청없이 IP주소를 찾을 수 있다)
- 1-1. Browser DNS Cache
- PC는 가장 먼저 브라우저 내에 존재하는 Browser DNS Cache에서 IP주소를 찾는다
- 1-2. OS DNS Cache
- 만약 Browser DNS Cache에서 못 찾으면, OS DNS Cache에서 IP주소를 찾는다
- 1-3. Router DNS Server
- 만약 OS DNS Cache에서도 못 찾으면, Router DNS Server에서 IP주소를 찾는다
- 1-4. DNS Server
- 만약 Router DNS Server에도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가 없다면, DNS Server부터 IP 주소를 알아내야 한다.
2. 위에서 캐싱되어 있는 것을 찾지 못했다면, DNS Server에 해당 도메인에 매핑되는 IP 주소를 요청한다.
- 접속하려는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DNS Server에 재귀적 질의를 진행한다.
- 최종적으로 DNS Server는 해당 도메인에 매핑되는 웹 서버의 IP 주소를 사용자에게 반환하거나혹은 찾지 못하는 경우 에러를 발생시킨다.
DNS Server 질의 과정
- 사용자의 PC는 가장 먼저 지정된 DNS Server에 DNS Query를 송신한다.
- (우리나라의 경우 통신사 별로 지정된 DNS Server가 존재)
- 지정된 DNS Server는 Root Name Server에 www.naver.com 을 질의하는데, 이때 Root Name Server는 ‘.com Name Server IP 주소’를 넘겨준다.
- 다시 ’.com Name Server’ 에 www.naver.com 을 질의하고, ‘.naver.com Name Server IP 주소’를 넘겨준다.
- 마지막으로 ‘.naver.com Name Server’에 www.naver.com 을 질의하고, 드디어 우리가 원하는 네이버의 IP 주소를 받을 수 있다.
3. DNS Server로부터 받은 IP 주소로 웹 서버와 연결하고, 요청하기
- 3-1. 먼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Connection 한다 (TCP 사용하기 때문 - 연결지향)
- 3-2. 연결이 되었으면,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HTTP Request(GET 요청) 전송
- 3-3. 웹 서버의 HTTP Request 처리 및 HTTP Response 전송
- 3-4.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로부터 받은 파일을 브라우저에 그려줘야 한다
4. 웹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받은 파일을 그려줄 때 CSR과 SSR의 차이가 존재한다
5. 서버로 부터 받은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서 그려서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(렌더링 과정)
이제 사용자가 네이버의 화면을 볼 수 있다 (이 모든 과정들이 몇초도 안되서 끝난다)
'프론트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팩의 빠른 로딩 속도 비교하기 (0) | 2022.08.11 |
---|---|
useRef와 useState의 변화에 따른 렌더링 차이 (0) | 2022.08.07 |
PR에서 테스팅 후 성공시에만 자동 Merge하기 (0) | 2022.08.03 |
useState 비동기 작동, 불변 메서드 문제 해결 과정 (0) | 2022.08.01 |
Javascript엔진, 이벤트 루프 (0) | 2022.06.11 |
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